3D프린팅, 어디까지 알아야 할까요?
산업에서 많이 사용되는 SLA, SLS, FDM의 출력 방식부터 원리, 재료, 장단점까지 한 눈에 비교해드립니다.
Hardware Guide를 영상으로 시청해보세요!

모든 색상으로 도색할 수 있습니다.
알고 계신 색상코드1 또는 갖고 계신 색상을 코드로 추출2해서 전달해주시면 해당 색상으로 도색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어떤 색상으로 도색을 진행해야 좋을지 결정하기가 어려우시다면 색상을 조합해보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이런 것도 가능합니다.
금속 느낌의 크롬도금, 제품에 표기할 텍스트 및 이미지 데칼 작업도 가능합니다.


작업과정은 이렇습니다.

① 표면 연마
거칠거나 매끈한 표면을 도색에 적합한 정도로 가공합니다.
② 1차 보정
도료 점착성을 높이고, 표면을 보정합니다.
③ 2차 보정
표면상의 미세한 결점을 보정합니다.
④ 도색
코드에 맞춰 도료를 조색하고 도색합니다.
⑤ 마감
제작물 표면을 코팅 등 정리합니다.
도색이 어려운 경우가 간혹 있습니다.
① 제품의 크기(공차)가 정밀한 경우
주로 분해•조립 형태의 결속 제품이 해당됩니다.
② 제품의 도색 영역(규격)이 세밀한 경우
좁은 틈이나 움푹 들어간 영역에 해당됩니다.
③ 제품 크기가 상당한 경우
한 변의 길이가 30cm 이하는 수월하지만, 그 이상의 규격은 협의가 필요합니다.
1.색상코드의 종류
① CMYK (아쿠아 cyan, 핑크 meganta, 노랑 yellow, 검정 black)
다양한 색상을 만들 때 이용되는 표준 모델입니다.
② RGB (Red, Green, Blue)
스크린을 위한 색상모드입니다. 실물 제작 시 CMYK 코드로 변경이 필요합니다.
③ HEX (Hexadecimal color)
웹사이트 코딩을 위한 색상모드입니다. 실물 제작 시 CMYK 코드로 변경이 필요합니다.
④ PMS (팬톤 컬러, PANTONE Matching System)
팬톤 사에서 제작한 차트로, 브랜딩 또는 표준 컬러를 선택할 때 참고할 수 있습니다.
2.코드의 추출 및 변환
① RGB 코드 추출
이미지 파일의 색상을 추출할 수 있습니다. view more
② CMYK ↔ RGB ↔ HEX
추출한 색상을 CMYK 코드와 상호 변환할 수 있습니다. view more
③ PMS → CMYK, RGB, HEX
팬톤 코드를 도색용 컬러 코드로 변경할 때 사용합니다. view more
④ CMYK → PMS
컬러 코드를 팬톤 코드로 변경할 때 사용합니다. view more
3.색상의 조합
색상 군을 선택할 때 참고할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
① 색상조합(RGB, HEX) :www.paletton.com
② 색상조합(PMS) : www.pantone.com/color-intelligence/color-education/x-ref
본 하드웨어 가이드를 보시고 도색 관련 질문이 있으시다면, 한양3D팩토리에 문의해주세요!
한양3D팩토리는 3D프린팅을 비롯하여 개발 컨설팅, 3D모델링, 제품 양산까지 진행하고 있습니다.
아래 배너에서 바로가기 버튼을 누르시면 한양3D팩토리에서 제공하는 3D프린팅 전문 지식을 보실 수 있습니다.

'하드웨어 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제품 개발 tip (0) | 2022.01.20 |
---|---|
양산 비용 확 줄이는 「금형·사출 비용 절감 방법」 (0) | 2022.01.18 |
역설계의 범위 (0) | 2022.01.12 |
모델링 자가진단 (0) | 2022.01.11 |
8분만에 끝내는 「3D프린팅 핵심 정리」 (0) | 2022.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