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웨어 가이드 (24) 썸네일형 리스트형 문의 자료 가이드 정확하고 신속한 견적 산출이 필요하신가요?문의 시 첨부할 파일을 몰라 혼란스러우신가요?필요한 파일을 확인하고 빠르게 제품을 제작하세요.문의 자료 가이드 메인 이미지 3D 프린팅을 진행하려면 가장 먼저 제품 설계자료가 필요합니다.하지만 3D 프린팅에 익숙하지 않은 경우에는 어떤 자료가 필요한지 혼동될 수 있습니다.본 글에서는 3D 프린팅을 위해 필요한 설계자료를 안내해 드리고자 합니다. 목차※목차를 클릭하시면 필요한 내용을 바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견적 요청 시 필요한 자료 1) 출력 가능한 파일 2) 유의사항 3) 적합한 파일이 없다면?설계 요청 시 필요한 자료 1) 필요한 자료 형태 2) 유의사항 3) 설계가 구체화 되지 않았다면?마치며 견적 요청 시 필요한 자료3D 프린팅으로 제품.. 시제품 제작, 어떤 순서로 진행되나요? 시제품 제작이 처음이신가요?목적에 알맞는 시제품 제조기업을 찾기 위한 지침서!제작 전 필요한 논의 과정을 A부터 Z까지 살펴보세요목차※ 텍스트를 클릭하여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세요.시제품 제작 프로세스 문의와 제작, 어떤 순서로 진행되나요? 발주 이전 1) 제작 문의 답하기 어려운 질문: 가견적은 어떻게 되나요? 효율적인 문의: 가견적 빨리 받는 방법 2) 제작 미팅 미팅 시 필요한 정보 상황별 참고 사항 3) 견적 4) 발주발주 이후 1) 제작 2) 출고마치며 출처: pexels 시제품 제작 프로세스문의와 제작, 어떤 순서로 진행되나요?제품을 제작하고자 할 때 믿을 만한 업체나, 제품에 적합한 공정을 단번에 알아내기란 어렵습니다.시제품 제작을 처음 진행하는 사업가나 실무자는.. 단 10분으로 제품개선 과정 알아보기 「실제 사례 기반」 제품 개발·개선을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되시나요?이론적인 아이디어 발상법만으로는 감이 오지 않으시나요?제품 개선 과정, 실질적인 사례를 통해 경험해 보세요.제품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론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하지만 막상 기존 제품의 개선할 점을 찾으려고 하면 실무 진행 과정에서 수많은 난관에 봉착하게 됩니다. 판매되고 있는 제품은 이미 완벽해 보입니다.정보를 찾아보려고 해도 방법론, 제품 개선 방식, 혹은 아이디어 발상법은 대부분 이론적인 단계만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렇게 이론적 단계만을 접하다 보면 정보의 홍수 속에서 길을 잃고,‘실제로 어떤(HOW) 과정을 거쳐서 제품을 개선할 것인가’가 명확하지 않아 고민하게 됩니다. 개념은 아는데, 어떻게 적용해야 하죠?우리 제품에 맞는 방법론이 뭔지 모르겠어.. 출력물 퀄리티, 2배로 높이는 방법을 아시나요? 제품을 전시할 목적이신가요? 퀄리티 있는 완성품을 원하시나요?금속성 제품, 투명 제품, 다채로운 색과 기업 로고가 보이는 제품까지!「후가공」으로 제품 퀄리티를 2배 이상 높여보세요.목차※ 텍스트를 클릭하여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세요.3D 프린팅으로 고품질의 제품을 제작해 볼까요? 표면 연마 및 보정 1. 샌딩 작업 1) 사포 연마 2) 샌드블라스트 작업 3) 기타 연마 작업 2. 퍼티 작업 3. 서페이서 도포 도색 1. 에어브러시 도색 2. 컬러 프린팅 3. 크롬 도금 4. 기타 도색 방식실크 인쇄 및 데칼 작업 1. 실크 인쇄 2. 데칼 작업 3. 마스킹 작업 주의할 점 1. 제품 형상 2. 제품 두께 마치며 3D 프린팅으로 고품질의 제품을 제작해 볼까요? 일반적으로.. 3D 프린팅으로 말랑한 제품 구현하기 대표 소재 특성 3분 미리보기3D 프린팅으로 말랑한 제품 구현하기이미지 출처: Formlabs (https://formlabs.com/kr/) 고무와 유사한 성질을 지닌 소재를 합성고무 소재라고 합니다.3D프린팅에서는 Flexible resin을 필두로 Elastic resin, Agilus, Rubber-like, Silicon등의 합성고무 소재를 쇼어 경도 30~95A 범위 내에서 선택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이렇게 유연한 질감을 3D 프린팅으로 구현할 시, 언더컷 구조에서 자유롭다는 강점이 있습니다.소량 양산 여부 등 의뢰 특성에 따라 3D 프린팅, 몰드, 진공주형을 모두 진행하고 있습니다.그럼 본격적으로 합성고무 소재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합성고무 소재 특성표면 조도합성고무 소재는 정밀도.. 3D프린팅 대표 소재 「ABS-Clear 총정리」 3D프린팅 대표소재인 ABS-Clear!지금부터 ABS-Clear 소재 특성을 알아보겠습니다. Hardware Guide를 영상으로 시청해보세요! ABS-Clear란?이번에 소개해드릴 소재는 ABS-Clear입니다.ABS-Clear는 SLA 방식의 레진 소재로, 소재가 투명하며 기존 ABS-Like 소재와 비슷한 물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ABS-Clear 예시 SLA 방식의 레진 소재이기 때문에 높은 표면 품질을 가지고 있습니다.일반적인 ABS보다 후처리가 쉬워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점에 더하여,범용적으로 사용되는 소재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제작 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습니다.그럼 본격적으로 ABS-Clear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표면 조도ABS-Clear 소재는 기본적으.. 3D프린팅 대표 소재 「ABS-Somos 총정리」 Hardware Guide를 영상으로 시청해보세요! ABS-Somos란?이번에 소개해드릴 소재는 ABS-Somos Tough입니다.Somos Tough 소재는 ABS-Like 소재와 동일하게 레진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적층시키는 제작 방식입니다. ABS-Somos 예시 ABS-Somos Tough는 SLA 방식의 레진 소재로서, 기존 ABS-Like 소재에 비해 높은 강도를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ABS-Like 소재 보러가기그럼 본격적으로 ABS-Somos Tough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표면 조도ABS-Somos Tough 소재는 표면이 회백색의 색감을 띠고 있습니다. ABS-Somos 표면 조도 정밀한 산업용 3D 프린터로 제작했기 때문에 ABS-Like 소재와 유사하게 적층면이 .. 3D프린팅 대표 소재 「ABS-Like 총정리」 3D프린팅 대표소재인 ABS-Like!지금부터 ABS-Like 소재 특성을 알아보겠습니다.Hardware Guide를 영상으로 시청해보세요! ABS-Like란?이번에 소개해드릴 소재는 ABS-Like입니다. ABS-Like 예시 ABS-Like는 SLA 방식으로 출력한 레진 소재로,광경화를 통한 0.1mm의 레이어 적층으로 미세한 표현과 높은 표면 조도를 가지고 있습니다.이렇게 우수한 정밀도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소재이기 때문에상대적으로 제작 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습니다.일반적인 ABS보다 후가공이 쉬운 특성도 가지고 있는 데다,전기 절연성이 우수하여 전자제품에 주로 사용되는 소재입니다. 그럼 본격적으로 ABS-Like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표면 조도ABS-Lik.. 3D 프린팅을 통한 시제품 제작 유형 4가지 3D 프린팅 기술은 제품 개발의 전 과정에서 필수적인 도구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초기 아이디어 단계부터 실제 양산까지, 3D 프린팅은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면서도 빠른 피드백을 가능하게 해줍니다. 이 기술은 특히 시제품 제작 과정에서 그 진가를 발휘하는데, 고객사들이 목적에 맞는 최적의 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본 가이드는 개발, 역설계, 프린팅, 양산이라는 4가지 주요 유형을 중심으로 3D 프린팅을 통한 시제품 제작 방식을 소개합니다. 각 방식은 고객사의 상황과 요구에 따라 달라지며, 제품의 특성, 목적, 예산에 맞는 적절한 해결책을 찾는 것이 핵심입니다.각 유형별로 핵심 고려 사항과 실제 제작 과정에서 주의해야 할 점들을 아래에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개발개발 유형은 제품.. STL 해상도에 따른 3D 프린팅 품질 3D 프린팅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STL 파일이 필요합니다. STL은 3D 프린팅과 CAD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파일 포맷으로, 폴리곤(작은 삼각형)을 연결하여 모델의 표면 구조를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이 포맷은 거의 모든 3D 프린터에서 사용되며, 3D 프린팅의 표준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Windows 3D 뷰어 앱을 통해서도 STL 파일의 형상을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낮은 해상도 STL 파일때때로, 설계를 완벽하게 해놓았음에도 불구하고 너무 낮은 해상도의 STL 파일로 의뢰하시는 경우가 있습니다. STL 파일의 해상도가 낮다는 것은 곡면이 매끄럽지 못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폴리곤의 수가 적어 빠른 처리가 가능하고 용량도 작게 차지하지만, 곡면을 표현하는 폴리곤 수도 적어 STL 형상의 곡면이.. 3D 프린팅을 위한 제품 모델링 가이드 3가지 3D 프린팅 기술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3D 프린터의 작동 방식뿐만 아니라 적절한 3D 모델링 리소스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Hardware Guide에서는 3D 모델링의 세 가지 포인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3D 프린팅 기술은 제품 개발과 시제품 제작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이 기술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려면 적절한 제품 모델링 리소스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가이드에서는 3D 프린팅을 위한 모델링 리소스를 마련하는 방법과 3D 프린터가 작동하는 방식에 적합한 모델 제작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모델링 리소스모델링 리소스는 무료 모델링 사이트를 이용해 다양한 3D 모델을 다운로드하거나, 실물이 있는 경우 3D 스캐닝을 통해 모델링하는 방법, 그리고 직접 CA.. 혁신적인 제조 기술, 금속 3D 프린팅 3D 프린팅은 제조업에서 혁신적인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기존 제조 방식보다 빠르고 효율적인 제작이 가능하며, 복잡한 형상도 손쉽게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과거에는 제한적인 소재만 사용이 가능했지만, 현재는 수십 가지 이상의 소재를 활용하여 다양한 제품을 제작할 수 있습니다. 금속 3D 프린팅금속 소재도 예외가 아닙니다. 기존에는 주조, 금형, CNC 가공 등의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습니다. 시제품을 제작하는 과정에서는 정밀도가 떨어지는 주조나 초기비용이 매우 높은 금형보다는 주로 CNC를 선호해 왔지만, CNC 역시 언더컷 구조로부터 자유롭지는 못하다는 단점을 갖고 있습니다.기존 방식으로 금속가공이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형상을 제작할 때에는 금속 3D 프린팅이 해답이 될 수 있습니다. 금속.. 출력물의 완성도를 결정짓는 「후처리 과정」 방금 출력된 제품을 보신 적이 있나요?이제 막 3D 프린팅이 완료된 출력물을 보면 우리가 예상한 것과 다른 형상입니다.우리는 제품을 받았을 때 모델링한 그대로 실물화된 제품을 받아보기 때문에의뢰한 제품이 출력된 직후에 어떤 모습을 보이는지 알 수 없습니다.하지만, 3D 프린터에서 출력을 마쳤다고 해서 제작 과정을 마치는 것은 아닙니다.3D 프린팅 공법은 기본적으로 한 층씩 쌓아 입체 형상을 구현하는 적층 제조 방식입니다.그래서 프린팅 방식에 따라 출력물에 서포터가 함께 출력되기도 하고,표면이 거칠거나 또는 적층된 레이어가 육안으로 확인되기도 합니다.그래서 최종 제품의 기능과 품질을 갖추기 위해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합니다.3D 프린터를 통해 제품이 출력된 이후의 마무리 작업을 후처리 과정이라고 합니다.3D.. 3D프린팅 대표 소재 「PA12 총정리」 3D프린팅 대표소재인 PA12!지금부터 PA12 소재 특성을 알아보겠습니다. Hardware Guide를 영상으로 시청해 보세요! PA12란?3D프린팅 대표 소재인 PA12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PA는 Polyamide(폴리아미드)의 약자이며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나일론이고,숫자 12는 분자구조 내의 탄소원자개수를 의미합니다. PA12는 강도, 탄성, 내구성, 내열성, 내화학성이 뛰어나고 수분흡수율이 낮아산업 현장에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이렇게 설명만 들으셨을 때는 어떤 느낌인지 잘 감이 안 오시나요? 지금부터 PA12의 소재특성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PA12 소재의 특성1) 표면 조도PA12 소재로 3D프린팅을 하면 인쇄 직후에는 표면이 회색을 띠고 있습니다.실제로 만져보면 오돌토돌한 질감.. 3D프린팅 「방식별 표면 조도 정리」 3D프린팅 소재의 표면 퀄리티는 어떻게 다를까? 출력 방식별 표면 조도를 한눈에 정리! 제작하려는 제품에 가장 적합한 방식을 찾을 수 있습니다. Hardware Guide를 영상으로 시청해 보세요! 3D프린팅 표면 조도 혹시 3D프린팅 제작 상담 시 ‘표면 품질이 높다, 혹은 낮다’ 와 같은 설명을 들으신 적 있으신가요? 처음 제작을 의뢰하시는 분이라면 이 설명만으로는 아직 감이 안 오실 수 있습니다. 이번 하드웨어 가이드에서는 대표적인 3D프린팅 출력 방식별로 다양한 샘플을 보여드리면서, ‘3D프린팅 표면 조도’의 차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1) SLS SLS 출력 방식의 ‘PA12’ 출력물 샘플입니다. SLS 출력물은 표면에 오돌토돌한 모래무늬를 형성하고 있는 게 특징입니다. 확대해서 봤을..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