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전 / 소품
♦ 용 도 : 디자인 제품 테스트 목업
♦ 제조방식 : 3D프린팅(SLA), ABS-like
♦ 중점사항 : 꼬인 형상의 제품 제작
♦ 프로세스
최종 제품
![](https://blog.kakaocdn.net/dn/sm9I7/btsJDTXNVbe/xxtDuNg7YKMMuBr9hxKon1/img.jpg)
곡선 형태가 두드러지는 인테리어 조명을 제작했습니다.
본 제품은 기성품의 형태를 참고하여 변형한 제품으로,
3D모델링과 3D프린팅, 도색, 후가공을 모두 한양3D팩토리에서 진행했습니다.
제작 과정
1) 3D모델링
이번 사례의 경우 기존 제품의 곡선 모양은 유지하면서 디테일한 부분을 수정하는 방향으로 설계가 필요했습니다.
이에 의뢰 기업에서 기성품 실물을 제공받아 이를 토대로 3D모델링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Re9an/btsJEMXTK7p/3O2m5KMz7CcxjWVGiSuzpk/img.png)
상단 프레임은 LED 등이 삽입될 수 있도록 깊이 파여있는 구조를 만들고,
아래쪽은 전등 사용을 위한 회로가 들어갈 수 있는 깊이로 설계하였습니다.
2) 3D프린팅
![](https://blog.kakaocdn.net/dn/bgQqMx/btsJFpVvQYV/f6kdwbMZO5TfFjMd5HjGY0/img.jpg)
인테리어 조명이라는 제품 특성상 높은 퀄리티를 위해 레진을 사용하는 SLA 방식, 그 중에서도 ABS-like 소재를 사용했습니다.
ABS-like 소재는 ① 높은 정밀도와 ② 빠른 출력 속도, ③ 매끄러운 표면 품질이 장점입니다.
후가공을 하면 실사용이 가능한 기성품과 유사한 퀄리티로 제작이 가능합니다.
① 조명 프레임
LED 등을 장착하게 될 조명 프레임입니다.
본 제품은 꼬여있는 곡선 형태를 하고 있어 NC가공으로는 제작이 어려운 형상이었지만,
3D프린팅을 통해 수월하게 제작이 가능했습니다.
상단 프레임의 끝부분에 조립하는 캡 내부에 고정을 위한 얕은 턱을 추가했습니다.
약 1mm의 높이인 이 턱은 정밀도 높은 ABS-like 소재를 사용하여 출력이 가능했습니다.
② 하단 받침대
상단 프레임을 끼워 고정하는 하단 받침대입니다.
받침대 내부와 바닥면에 나사를 끼워 고정할 수 있는 구멍이 깔끔하게 출력되었습니다.
3) 도색 후가공
ABS-like는 출력 시 약간의 아이보리 빛을 띄고 있습니다.
아래 사진 상에서 왼쪽에 있는 받침대 내부는 도색을 진행하지 않은 부분입니다.
밝은 유광 흰색의 표면을 만들기 위해 도색 후가공을 진행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XhiGV/btsJElTXcoZ/sjnyDTUjmsp37VU0Llyn20/img.jpg)
최종 제품
![](https://blog.kakaocdn.net/dn/cZ9TLv/btsJFIm0PWm/LmF5NtT6xHXRWR79zYARck/img.jpg)
최종 완성된 조명 모습입니다.
상단부 프레임에 파인 폭에 LED 등이 조립되어 완성될 예정입니다.
마치며
이와 같이 복잡한 형상의 디자인 제품도 3D프린팅을 통해 쉽고 빠르게 제작할 수 있었습니다.
최종 제품과 유사한 퀄리티로 제작된 본 제품은 제품 양산 전 디자인 확인 및 실사용 테스트에 활용될 예정입니다.
한양3D팩토리는 경험을 바탕으로 전문적인 설계와 3D프린팅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제품의 형태와 용도에 가장 적합한 소재 선택을 통해 제품의 퀄리티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아래 배너에서 제작문의 버튼을 누르시면, 빠른 문의 가능합니다.
'포트폴리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제품 개발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자동 급수 화분 (0) | 2024.09.19 |
---|---|
타공이 많은 제품도 신속하게, 센서 지그 (0) | 2024.09.19 |
테스트 제품 조립도 원활하게, PCB 홀더 (0) | 2024.09.19 |
특수 3D 프린터를 이용한, 캐릭터 무드등 (7) | 2024.09.13 |
1대1 개인 맞춤 설계된, 절지환자 의수 (1) | 2024.09.13 |